안녕하십니까? KEIT 독일거점 이강우 입니다.[Sample] of Demand Survey(Korean and English)[Form1](Final version) Form of Tech Demand Survey(English)[Form2]해외기술수요조사자 현황(양식) Form1 및 Form2 동시 작성 및 제출 요망[From1](Final version) Form of Tech Demand Survey(Korean)
재독일한인과학기술자협회(VeKNI) 박원선 협회장님께서 유럽 각국 과협회장님께 홈피 게재 및 과학자 안내 등 협조메일 보내시겠지만
제가 맘이 바빠 재공지 드리는점 양해 바랍니다. (3/8 기 안내는 했으나, 본국 현황을 고려하여 중점투자방향은 없이, 일단 수요조사를 하게 되었습니다. 2달간 제안해주셔야 해서 서둘러서 공지 드립니다.)
** 외국인 수요조사 안내는 영어로 별도로 제가 보낼 예정입니다.
유럽의 중요 명절인 부활절 연휴는 잘 지내셨는지요? 날이 좋지 않아 걱정은 했는데, 최근 날일 좋아져서 해도 볼 수 있어 좋습니다. 즐거운 하루 되십쇼.
KEIT의 2019년 산업기술R&D 신규과제 기획을 위한 기술수요조사 제출 협조에 대한 안내를 드립니다.
산업기술R&D 기술수요조사는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(KEIT, www.keit.re.kr)을 통해 수행되는 절차이며, 산업통상자원부의 R&BD전략(정부의 R&D투자방향)과 연관성/정합성이 있는 기술수요조사를 발굴하여 차년도(2019년도) R&D공고과제를 기획하여 도출하기 위한 목적으로 추진되고 있습니다.
* 산업부의 산업기술R&D는 유로스타나 독일 ZIM 처럼 자유공모(Bottom–up, ex현재 자유공모형 사업은 우수기술연구센터(ATC)사업이 있음) 과제는 거의 없고 대부분 기술수요조사를 통해 지정공모(RFP; Request for Porposal, ex산업핵심기술개발사업) 또는 품목공모(구체적인 개발spec. 제시 없이 과제명, 과제개요만 공고하여 개발원료/방법/제품의 형태는 개발자가 자율적으로 개발하는 일종의 지정공모와 자유공모의 중간 형태, ex글로벌전문기술개발사업) 형태로 신규과제가 공고되고 있음
① 해외 기술수요조사(미국/캐나다/유럽 4~6월 실시, 단, 5월말 마감하고 6월은 제안서 분류 등 일을 해야 합니다.) →
② KEIT 소속 21개 분야 기술PD의 산업분야별 정부R&D정책방향과 부합성 검토 및 기획대상과제 발굴(7~8월) →
③ 과제기획 및 기획결과물 인터넷 공시(유럽의 경우 인터넷공시전 과제기획과정 및 결과에 대해 EKC2018 ‘글로벌기술전략포럼(8.20~21 기술PD와의 분과세션, 8.21설명 등 오픈세션 예정)’에서 기획담당 기술PD 등이 참석해서 추진경과 및 향후 계획에 대한 발표를 실시하고 포럼 당일 산업분야별 분과구성(유럽내 한인과학기술인 전문가로 구성, 약 5개 분과 약 35명 내외로 구성 예정) 및 검토위원회를 통해 PD와 함께 검토 및 의견수렴 과정 등을 거치게 됨) →
④ KEIT 홈페이지에 인터넷공시(9월~) 및 대국민 의견수렴 과정을 거쳐 이후 각 과제별 경제성(사업화전문가)/특허동향(특허청)/표준동향(국가표준원)/디자인동향(디자인PD) 조사를 거쳐 최종 후보과제 도출→ 과제기획 공청회 및 각 과제별 최종본 인터넷 공시(~11월) →
⑤ 2019년 예산에 대한 국회 예산심의 확정(12월초) 후 예산규모에 따른 분야별 과제 우선순위 도출 및 산업부/KEIT 내부심의(12월) →
⑥ 최종 결정된 과제(RFP 및 품목) 신규공고(12월말, KEIT홈페이지 및 주요 언론, ex조선일보, 중앙일보, 동아일보, 한국경제, 매일경제, 서울경제, 해럴드 등) →
⑦ 각 사업 신규공고사업 설명회 개최(유럽의 경우 KEIT유럽사무소에서 설명 가능), 과제별 신청서 접수, 신규평가, 과제선정 및 협약, 개발사업비 지원(2019년 상반기) 순으로 진행 예정
상기 내용과 같이, 기술수요조사 제안은 산업기술R&D 과제발굴을 위한 첫 단계임을 감안하시어, 유럽내 한국인과학기술자 등의 산업기술R&D 참여가 확대될 수 있고, 실질적 한국 R&D 주체와 함께 공동기술개발에 도움이되도록 많은 관심을 갖고 제안해 주시기를 바랍니다. 개인적으로 1인당 2개까지 제안할 수 있으며, KEIT의 기술수요조사 작성유령 및 작성양식 등을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. 감사합니다.
기술수요조사 제출처, 제출양식 및 제출기한
ㅇ제출처 : 재독과협 최정환 박사(choi.junghan.vekni@gmail.com)
* 외국인 기술수요조사의 경우 KEIT 유럽사무소(노경아 연구원 roh.kyungah@gmail.com)에서 받아 최정환박사님께 송부 예정
ㅇ제출양식 : 기술수요조사제안서 MSword(국문양식) + 제안서정보 Excel 등 2가지 제출
ㅇ제출기한 : ~2018년 5월31(목요일)
ㅇ기타 수요조사, R&D사업 등 문의 : KEIT Europe Office(이강우소장, lkwspc@keit.re.kr, +49 171 7850100, 사무실 +49 30 8891 7390)
* 이강우 소장이 5.31일부로 본국 귀국 예정으로 4.30일부로 부임하는 전준표 소장(augtto@keit.re.kr)에게도 문의 가능
< 참고1. 2017년 신규과제로 지원된 유럽 참여과제 현황 >
사업명 |
과제명 |
국내 주관기관 |
총 정부 출연금 |
총 개발기간 |
유럽 참여기관 |
그린카 등 수송시스템산업핵심기술
개발사업(조선) |
자율운항 선박을 위한 운항관제 인공지능 시스템 원천기술 개발 |
한국전자 통신연구원 |
28억원 |
2017.4.1.~
2019.12.31. |
MARINTEK
(노르웨이, ‘17~) |
우수기술연구소사업
(글로벌 융합ATC) |
스마트 다형·다종 연속 자동 포장시스템 개발 |
에이스기계 |
12억원 |
2017.4.1.~
2019.12.31. |
KIST Europe
(독일, ‘17~) |
로봇산업융합
핵심기술개발사업 |
사람피부의 촉각소자 구조 및 기능을 재현할 수 있는 로봇용 인공피부 소자 및 로봇수술, 의수 적용을 위한 원천기술 개발 |
표준과학연구원 |
16.5억원 |
2017.6.1.~
2019.12.31. |
Bonn University
(독일, ‘17~) |
소재부품산업
미래성장동력사업 |
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를 위한 20%이상 신축성을 갖는 백플레인, 발광화소용 소재ㆍ소자ㆍ공정 원천 기술 개발 |
고려대 |
125.7억원 |
2017.6.1.~
2020.12.31. |
Fraunhofer ISP
(독일, ‘17~) |
산업소재핵심기술
개발사업(금속재료) |
금속–복합재 하이브리드 공정(접합–성형) 통합 엔지니어링 기술개발 및 25%이상 경량화 사이드 스트럭쳐 상용화 부품 개발 |
성우하이텍 |
64억원 |
2017.7.1.~
2020.12.31. |
ILK, TU-Dresden
(독일, ‘17~) |
산업소재핵심기술
개발사업(세라믹소재) |
난검출성 위해인자 고성능 탐지를 위한 단일도메인항체와 초상자성 세라믹 나노입자의 융합 바이오 세라믹소재 및 진단키트 개발 |
중겸 |
23.5억원 |
2017.7.1.~
2021.12.31. |
University of
Duisburg-Essen (독일, ‘17~) |
산업소재핵심기술
개발사업(섬유의류) |
PPS, PEEK 적용 섬유함량 60wt% 이상인 탄소섬유 UD Tape을 적용한 항공기용 보강 판넬 및 구조용 클립 개발 |
코오롱플라스틱 |
44.8억원 |
2017.7.1.~
2019.12.31. |
AMRC with Boeing
(영국, ‘17~) |
* 현재 진행중인 유럽참여 과제는 상기 과제를 포함하여 총 17개임
(독일 9개, 영국 3개, 스위스 1개, 폴란드 1개, 노르웨이 1개, 러시아 1개, 불가리아 1개)
< 참고2. 최근 3년간 독일 기관 참여과제 현황(2017년 12월말 기준) >
세부사업 | 과제번호 | 과제명 | 총개발기간 | 기관명 |
비고 |
산업소재핵심
기술개발 (화학공정소재) |
10052896 | PPS 복합소재를 이용한 고내열, 고강성, 내화학 특성이 향상된 극한 환경용 자동차부품개발 | 2015-06-01~
2020-05-31 |
Fraunhofer ICT | 주관기관 인지컨트롤스 |
산업소재핵심
기술개발 (화학공정소재) |
10060281 | 연속유리섬유강화 PET 샌드위치 및 중공단면 중간재 제조 기술개발 및 이를 활용한 자동차 구조용 부품 성형 기술 개발 | 2015-12-01~
2020-12-31 |
Fraunhofer ICT | 주관기관 라지 |
소재부품산업
미래성장동력 (차세대디스 플레이기술개발) |
10079974 |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를 위한 20%이상 신축성을 갖는 백플레인, 발광화소용 소재ㆍ소자ㆍ공정 원천 기술 개발 | 2017-06-01~
2020-12-31 |
Fraunhofer
Institute for Silicate Research |
주관기관 고려대학교 |
스마트공장
고도화기술개발 (스마트공장 성공모델개발ㆍ 구축) |
10054486 | 제조산업을 위한 개방형 IIoT 스마트공장 플랫폼 및 Factory-Thing 하드웨어 기술개발 | 2015-07-01~
2018-06-30 |
Fraunhofer
IOSB |
주관기관 전자부품연구원 |
로봇산업핵심기술개발사업
(범부처협력로봇제품기술) |
10077620 | 사람피부의 촉각소자 구조 및 기능을 재현할 수 있는 로봇용 인공피부 소자 및 로봇수술, 의수 적용을 위한 원천기술 개발 | 2017-06-01~
2019-12-31 |
Bonn
University Computer Science VI |
주관기관 한국표준과학연구원 |
산업소재핵심
기술개발 (금속재료) |
10077492 | 금속–복합재 하이브리드 공정(접합–성형) 통합 엔지니어링 기술개발 및 25%이상 경량화 사이드 스트럭쳐 상용화 부품 개발 | 2017-07-01~
2020-12-31 |
ILK,
TU-Dresden |
주관기관 성우하이텍 |
산업소재핵심
기술 개발사업 (세라믹소재) |
10077536 | 난검출성 위해인자 고성능 탐지를 위한 단일도메인항체와 초상자성 세라믹 나노입자의 융합 바이오 세라믹소재 및 진단키트 개발 | 2017-07-01~
2021-12-31 |
University of
Duisburg-Essen |
주관기관 중겸 |
우수기술연구소사업
(글로벌 융합ATC) |
10077285 | 스마트 다형·다종 연속 자동 포장시스템 개발 | 2017-04-01~
2019-12-31 |
KIST Europe | 주관기관 에이스기계 |
전자시스템전문기술개발사업
(레이저핵심부품국제공동개발) |
10053859 | 발진파장 975nm 광출력 12W 이상의 산업용레이저 여기용 레이저다이오드 상용화 기술 개발 | 2015-10-01~
2018-09-30 |
Humboldt
University |
주관기관 큐에스아이 |
제조기반산업
핵심기술개발 (생산시스템) |
10039982
(종료) |
Eco/Bio 산업의 기능성 부품 생산용 차세대 융복합 가공시스템 개발 | 2011-06-01~
2016-08-31 |
Hannover
University |
주관기관 한국기계연구원 |
나노융합산업
핵심기술개발사업 (나노융합) |
10043929
(종료) |
제품개발 단계에서 활용 가능한 “사용자 친화적 나노안전성 예측 시스템” 개발 | 2012-12-01~
2017-11-30 |
KIST Europe | 주관기관 한양대학교 |
전자시스템전문기술개발사업
(나노제품안전성기반구축) |
10059133
(종료) |
나노제품 안전성 인벤토리 구축 | 2015-10-01~
2017-09-30 |
KIST Europe | 주관기관 한국기계연구원 |
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KEIT Europe Office, Representative
Kang-Woo, Lee
(DVM,PhD. / CVA(Certified Valuation Analyst))
Tel : (Office) Tel +49 30 8891 7390,7391,
Fax +49 30 8891 7389
(Internet phone) +82 (0)70-8829-7147
(CP) +49 171 785 0100
E-mail : lkwspc@keit.re.kr,lkwspc1@naver.com,lkwspc@gmail.com
Address: Knesebeckstr.54, 10719 Berlin, Germany
[Korea Evaluation Institue of Industrial Technology]
“매일심는 청렴씨앗, KEIT의 행복열매”
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